다양한 소식

청년내일저축계좌 발표 및 최신정보

OHAYO 미니파파 2022. 10. 27. 16:52
반응형

지난 22년 7월 18일부터 8월 5일 사이에 모집했던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에 대한 결과 발표일이 다가왔습니다. 이미 발표가 난 곳도 있고 아직 발표가 나지 않은 곳도 있는데 오늘은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기본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썸네일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내일 저축계좌가 무엇인가요

1.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내일 저축계좌는 정부에서 청년들의 복지를 위해 지원하는 제도로 본인 월 10만원씩 저축을 하면 정부지원금으로 10만원을 추가로 적립해서 돈을 모을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총 3년간 납입을 할 수 있으며 만기 시에는 본인 납입액 360만원에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을 합해 720만원의 적립금과 그에 대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초 생활 수급자 또는 차 상위 청년에 해당한다면 정부지원금을 총 3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서 3년 만기일을 채운다면 총 1,44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2. 지원 대상자

  •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당시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청년들이 지원을 할 수 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은 만 15세 ~ 만 39세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현재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지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가구 소득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가구재산 대도시 3억 5천만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인 가구 : 1,944,812원
2인 가구 : 3,260,085원
3인 가구 : 4,194,701원
4인 가구 : 5,121,080원
5인 가구 : 6,024,515원

2022년에 발표된 청년 내일 저축계좌 지원 대상자는 위에 언급한 것과 같지만 2023년에는 대상자가 변경될 수 도 있다고 하니 내년에 신청을 하실 분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 당첨 후 받을 수 있는 돈은 얼마인가요

수급자, 차상위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월 10만 원씩 총 3년간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만기 후 총 받는 금액은 본인이 저축한 금액 360만 원에 정부지원금 360만 원을 더해 총 720만 원에 은행 이자를 추가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수급자, 차상위 이하, 기준 소득 50% 이하에 해당한다면 저축한 금액 360만 원에 정부지원금 1,080만 원을 더한 1,440만 원에 은행 이자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에서는 청년 내일 저축의 기본 금리를 기본 2%에 급여 및 주거래 이체 신청 등 부가적인 서비스를 같이 이용하게 되면 3%를 추가로 우대를 해줘서 총 5%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저축 금액은 10만 원 ~ 50만 원까지 가능하지만 금액을 많이 넣는다고 해서 정부지원금이 더 많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4. 당첨 후 해야 할 일

만약 당첨이 된다면 알림톡으로 안내 문자를 받게 됩니다. 이후 하나은행 희망브램치에 들어가 청년 내일 저축계좌 가입 신청을 하고 3년간 월 10만 원 이상씩 저축을 하면 됩니다.

저축을 하는 동안에는 근로 활동을 유지해야 하며 교육 이수,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근로 소득이 월 300만 원 이하여야만 계속해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만약 소득이 월 300만 원을 초과하게 되면 중도 지급 해지가 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중간에 해지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

중간에 저축을 유지할 수 없어 해지를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은 해지 사유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 만기 지급 해지 : 3년동안 꾸준하게 저축하고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한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금액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 중도 지급해지 : 납입을 하는 도중에 근로 소득이 월 300만 원을 초과하게 되면 지원금 지급이 종료됩니다. 이때 교육 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하면 해지 결정된 달의 전월까지 적립된 금액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 환수 해지 : 당첨 후 저축을 하는 과정에서 근로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거나 사전에 신청 없이 누적 12개월간 미납한 경우, 교육 이수 미실행,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을 한 경우에는 본인이 저축한 금액과 그에 대한 이자만 받을 뿐 정부지원금은 지급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청년 내일 저축 추가 모집

2022년 청년 내일 저축이 모집은 이미 끝이 났지만 정부에서는 2023년에도 추가로 6만 7000명을 추가로 모집한다고 합니다. 올해 당첨이 되지 않으신 분들은 미리 관련 정보를 확인해서 내년에 신청하여 당첨을 노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